과학 정보

스마트폰(smart phone) 과 노인(老人)들

표한근 2020. 11. 13. 12:01




smart phone(스마트폰)
과 노인(老人)들


스마트폰(smartphone)은
우리의 생활(生活)에
많은 변화(變化)를 불러오고
있습니다.

이제 이것은
더 많은 사람들을 불러
모으고 있으며,

앞으로 어디로
어떻게 흐를지 아무도
예측 (豫測)할수 없지만

분명(分明)한 것은
스마트폰이 지금보다
더 밀접(密接)한

생활(生活)의
일부(一部)로서 자리 잡을
것이라는
사실(事實)입니다.

급속(急速)히
발전(發展)해 가는
스마트폰시대(時代)는

우리가 나이를 많이먹은
노인(老人)이라 해서
예외적(例外的)으로

특별(特別)히
우대(優待)해 줄리도
만무(萬無)하고
기다려 주지도 않을
것입니다.

점잖게 뒷짐 지고
어흠 어흠! 하며 그저
방관(傍觀) 하다보면,



인터넷과
스마트폰 시대인
현 시대는 웹을 통하여

여러사람들과 동시에 만나
정보(情報)를 나누고

의견(意見) 교환(交換)의
장(場)으로
이용(利用)하며,

기존(旣存)의
삶의방식(方式)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삶과 문화(文化),
역사(歷史)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적응(適應) 하자면
체면불구(體面不拘)하고
배워야합니다.

언제
죽을지 모르는 늙은이가
골치 아프게
그따위를 배워서
뭘 하겠느냐고요?

당장 죽지도 않는다면
죽는 날까지
배우다 죽으면 손해(損害)
볼게 뭐있습니까?



앞으론 어르신네니,
회장(會長)님이니,
사장(社長)님이네 하는

공치사(功致辭)의
호칭(呼稱)으로
존경(尊敬)받기는
글렀습니다.

알아야 면장(面長)도
한다는 격(格)으로
알아야 합니다.

떨어져 사는 아들,
딸이나 손자(孫子),며느리,
친구(親舊)로 부터
급(急)한 전자메일이 와도
이걸 읽을 수도 없고

답장(答狀)을
하지도 못한다면 말장
헛것입니다.



앞으로는
우리들 생활(生活)의
전(全) 분야(分野)에
있어서

멀티미디어로
이뤄질 것임은
명약관화(明若觀火)한
일이 아니겠습니까?
누가 압니까?

지금쯤은
저승(儲承)에서도
벌써부터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붐을 이루고 있는지?

부끄러워 할 것 없습니다.
배웁시다.

뭘 좀 안다고 잘난 척하는
사람 별것 아닙니다.
도토리 키 재기겠지요.

토끼와 거북이의
경주(競走)처럼 토끼가
방심(放心)한 사이에
거북이도
토끼 따라 잡을 수가
있다지 않습디까?

팔십 된 늙은이가
모르면 8살 어린애에게
배운다지 않습니까?

그것은 무슨 이 나이에
취직(就職)을
하기 위한 것도 아니요,

무슨 자격증(資格證)을
따보자는 것도 아닙니다.

나 스스로를
향상(向上)시켜
나가는 활력소(活力素)로
이용(利用)하여

재미있고 보람있는
삶을 살아가자는 것일
뿐입니다.

그리고 저는 아직 10년
생존율(生存率) 40%라는..

그렇다고
그냥앉아 하루에도 몇 번씩
저승(儲承)을
왔다 갔다하는 실없는
번뇌(煩惱) 망상(妄想)을
일으키기 보다는



차라리 말없는 컴퓨터와
마주 앉으면
그게 노래도 들려주고

그림도 보여주며
좋은 친구가 되어줍니다.

취생몽사(醉生夢死)가
아니라,
단 하루를 살아도
자기의 취미(趣味)나,

하고 싶은 일에
열중(熱中)할 수 있는 사람은
참으로 행복(幸福)한
사람이라 생각합니다.

그 어떤 병자(病者)이건
첫째 당자(當者)의
투병의지(鬪病意志)가

강(强)해야만 병(病)을
이겨낼 수 있다 하지
않습니까?

우리는 이 세상(世上)에서
인간(人間)들이

자기중심적(自己中心的)으로
만든 잣대로
모든 것을 재려 하니까
문제(問題)가
생기는 것 같습니다.



무료(無聊)한 노인네들!
공원(公園)에 앉아
힘없는 눈으로 먼 산을
바라보며

지팡이 짚고 앉아있는
노인을 보면
서글퍼집니다.

나는 아직은 이렇게
컴퓨터와 마주앉아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다행(多幸)한
일인지 모릅니다.

"한바탕
연극(演劇) 잘하다가
가라!"는 어느 선객(禪客)의
말처럼

이왕 왔으니
한바탕 잘 놀다가
천명(天命)이 다하면 가는것
아니겠습니까?

어디로 가느냐고요?
서둘지 마세요?
갈 때가 되면
누구나 어김없이
가는 것입니다.

극락(極樂),천국(天國)
그런곳은 역시(亦是)
인간(人間)들이
이름 지워둔 곳이

시끄러울 것 같아
그저 본래(本來)로
왔던곳인

적적요요
(寂寂了了:적적한 가운데
사리를 통달하는 것)

한 생명(生命)의
원천(源泉)으로 되돌아
가겠지요!

뭐 마치 잔잔한 바다에
바람이 일면
파도(波濤)가 일어나고,

수없이 많은 물방울이
생겨났다 사라지듯이..
그저 그렇게.....!!!



[평생(平生)
공부(工夫)를 하자]


공부(工夫)라고 하면
학창시절(學窓時節) 공부만
떠올리는 사람이 있다.

그리고
그 시절(時節)이 끝나면
공부에서
해방(解放)되었다고
좋아한다.
어리석은 사람 중의
하나다.



자신(自身)의 삶을
현실(現實)에
안주(安住)하며 살다보면
언젠가는
자신의 역할(役割)이
없어지게된다.

빠른속도(速度)로
변화(變化)하는
글로벌(Global)
시대(時代)에

자신만의 무기(武器)가
없다면 살아남기 힘들다는
것이다.

이럴 때
우리는 해야 할것이 있다.
바로 공부(工夫)다.

여기에서 공부란
미래(未來)의 꿈을 향(向)해
준비(準備)하는
공부일 수도 있고,

자기계발(自己啓發)을 위해,
자기경영(自己經營)을 위해,
책(冊)을 읽고
실천(實踐)하는 것일
수도 있다.



중요(重要)한 것은
자신을
단련(團練)시키기 위해,

미래(未來)를 위해,
준비(準備)한다는 것이다.

배움은 바로 자신(自身)의
성장(成長)과 연결(連結)되어
있음을 잊지 말자.

늘 평생(平生) 공부(工夫)를
염두(念頭)해 두고
삶을 살아가도록 하자!

-좋은 글 중에서-

-편집인 표한근-

'과학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 AI 진화 속도]  (0) 2021.03.01
핸드폰의 5G에 대한 상식풀이  (0) 2019.12.10
소금 이야기  (0) 2019.10.21
1분 안에 잠드는 놀라운 비법  (0) 2019.10.16
[스크랩] 고지혈증  (0) 2010.07.28